
보건의료 전문가들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에게 “정점을 확인하는 데 1~2주 정도면 된다. 그 이후에 사회적 거리두기를 풀어도 큰 문제가 없다”고 조언했다. 또 의료계에서는 “필수 의료체계를 확립해달라”고 당부했다.
더불어민주당에서 코로나19 관련 외부 자문단으로 활동했던 백순영 가톨릭대의대 명예교수는 11일 뉴스1과 통화에서 “영업시간 제한이나 인원 모임을 단박에 풀 것처럼 보이는데, 조금만 보수적으로 접근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당선인은 후보 시절 영업시간 제한 철폐 등 코로나19 방역의 대폭 완화를 예고해왔다. 100일 내로 코로나19 대응체계를 전면 개편한다는 방침이다.
최근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규모는 30만명대로 올라섰다. 방역당국은 35만명선 내외를 정점으로 보고 있고, 이르면 다음주 중으로 정점을 기록하고 감소세로 접어들 수 있다는 전망이다.
백 교수는 “3월 중에는 누적 확진자가 1000만명대가 될 것이고, 미확인된 확진자를 포함하면 30% 이상 자연면역을 갖고 있다고 본다”며 “거의 집단면역에 가까워졌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금 상황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는 큰 의미는 없지만, 정점이 확인된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조금 늦춰도 큰 문제가 없다”고 덧붙였다.
의료계에서는 현장 전문가의견을 적극 반영하고, 훙부외과·산부인과 등 필수의료를 강화해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한의사협회는 10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께 바랍니다’는 보도자료에서 “전문가 의견이 반영되는 바텀업(Bottom-up) 방식으로 정책이 수립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의료기관들이 필수의료를 잘 이행할 수 있도록 공익적 수가 제도를 개선하고, 의료취약지 민간병원의 지원을 강화해달라”고 당부했다.
김동석 대한개원의협의회 회장은 “윤석열 후보가 필수의료국가책임제를 발표했다. 정말 실천해주길 간절히 바라고 있다”며 “수가 인상은 당연하고, 불가항적인 의료사고를 책임져주는 의료사고처리특례법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지영 대한중환자의학회 회장은 “우리나라 중환자실 중 1인실 비율은 아시아 국가들의 반도 못 미치는 상황”이라며 확대를 요구했다. 또 의료 인력의 부족을 꼽으며 “인력·구조적인 면이 개선돼야 (코로나19와 같은) 문제를 또 당면했을 때 제대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