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일, 10월 22, 2025
Advertisement
  • 홈
  • AL/로컬/지역
  • 타운뉴스
  • 한국
  • 정치/경제
  • 미국/국제
  • 문화/예술
  • 연예/스포츠
  • 사회
  • 생활/건강
  • 인물/피플
  • 종교
  • 비디오
  • 산업/IT/과학
  • 사설/칼럼
No Result
View All Result
  • 홈
  • AL/로컬/지역
  • 타운뉴스
  • 한국
  • 정치/경제
  • 미국/국제
  • 문화/예술
  • 연예/스포츠
  • 사회
  • 생활/건강
  • 인물/피플
  • 종교
  • 비디오
  • 산업/IT/과학
  • 사설/칼럼
No Result
View All Result
No Result
View All Result
  • 홈
  • AL/로컬/지역
  • 타운뉴스
  • 한국
  • 정치/경제
  • 미국/국제
  • 문화/예술
  • 연예/스포츠
  • 사회
  • 생활/건강
  • 인물/피플
  • 종교
  • 비디오
  • 산업/IT/과학
  • 사설/칼럼
Home 미국/국제

바이든 대통령까지 나선 동맹관리…대중견제까지 포석

전문가 "美 아태전략서 한국이 일정부분 역할 바라"

앨라배마 타임즈 | Alabama Korea Times by 앨라배마 타임즈 | Alabama Korea Times
8월 19, 2021
in 미국/국제
0

조 바이든 대통령. © AFP=뉴스1

Share on FacebookShare on Twitter
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 이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직접 나서 아프가니스탄 철군 사태로 인한 동맹국의 의구심을 일축하고 나섰다.

이를 통해 동맹을 강화하고 향후 대중견제에 있어 더 힘을 쏟을 거란 분석이 나온다. 특히 이 과정에서 미국은 우리의 역할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바이든 대통령은 19일 ABC와 인터뷰에서 이번 아프간 철군 사태로 인한 동맹국들의 불안감에 대해 “한국과 대만, 일본, 유럽 등 동맹국이 침략받는다면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바이든 행정부는 이달 31일을 미군 철수 완료 시점으로 설정했다. 이에 탈레반은 예상보다 빠른 지난 15일 수도 카불로 진입하면서 아프간을 장악했다. 미군 철수 발표 이후 아프간 정부가 속절없이 무너지자 국제사회에서는 동맹국 방위에 대한 미국의 신뢰를 두고 의구심이 제기됐다.

이에 설리번 보좌관은 17일 백악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한국이나 유럽으로부터 우리 군대를 감축할 의향을 갖고 있지 않다”면서 아프가니스탄 미군 철군 결정은 동맹국에서의 미군 감축과는 관계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바이든 대통령까지 직접 나서 같은 입장을 반복해 힘을 보탰다. 바이든 대통령은 “우리는 모든 약속을 지켰다. 우리는 5조의 신성한 약속을 했다”고 언급했다. 그가 언급한 5조는 한 나라가 공격받을 경우 자동으로 개입해 공동 방어를 한다는 내용으로 나토, 일본과 상호방위조약에 포함돼 있다. 한미상호방위조약에는 3조에 이런 내용이 들어가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동맹국뿐 아니라 ‘대만’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어 결국은 중국에 대한 견제를 완화하지 않을 거란 메시지를 던졌다. 아울러 한국과 대만 등에 대해 “악당의 악행을 억제하기 위해 노력하는 나라”라고 하면서 중국과 북한을 우회적으로 비판하기도 했다.

바이든 행정부가 아프간 문제에서 손을 떼면서 향후 중동 정세보단 오히려 대(對)중국 정책에 힘을 쏟을 거란 분석이 나온다. 특히 이 과정에서 미국이 한국에 동맹국으로서 중국 위협에 대한 명확한 역할을 요구할 거란 관측도 제기된다.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대중국 견제 협의체 ‘쿼드(Quad)’에 대한 한국의 참여에 대한 요구가 있어왔지만 우리 정부는 미중 사이 ‘전략적 모호성’을 보이면서 사실상 이에 대한 입장을 유보해 왔다. 미국이 한국의 역할을 기대할 것으로 보여 더는 이같은 정책을 유지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은 “그동안 미국이 중동에만 집중하는 동안 중국이 너무 커버렸다”면서 “(아프간 철군은)사실 중국을 겨냥하고 아시아태평양 지역으로 집중하기 위한 정책”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바이든 대통령의 발언 속에는 동맹이라는 것은 서로가 서로에게 이익을 주고 상호 역할을 해야한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면서 “미국도 우리가 중국과의 관계 때문에 어려워하는 것 알지만 미국의 아태전략에 한국이 일정부분 역할을 해주기를 바라는 마음을 내비친 것”이라고 덧붙였다.

앨라배마 타임즈 | Alabama Korea Times

앨라배마 타임즈 | Alabama Korea Times

Related Posts

북미 250여 기업의 품질·환경·안전 인증 동반자, 21C System Institute
AL/로컬/지역

북미 250여 기업의 품질·환경·안전 인증 동반자, 21C System Institute

10월 6, 2025
백악관 “국토안보부·상무부 공동 비자 개선 논의”
AL/로컬/지역

백악관 “국토안보부·상무부 공동 비자 개선 논의”

9월 9, 2025
현대차 조지아 공장에 연방 이민단속 ‘충격’
미국/국제

현대차 조지아 공장에 연방 이민단속 ‘충격’

9월 4, 2025
Next Post
아이폰SE보다 더 작은 ‘아이폰 나노’ 나올뻔 했다

아이폰SE보다 더 작은 '아이폰 나노' 나올뻔 했다

연방 재무부, 시설 파괴 악성소프트웨어 개발 러 연구소 제재

일본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리퀴드 1억 달러어치 해킹당해 - CNBC

"화이자 접종 사스 생존자, 모든 코로나에 면역"…범 코로나백신 기대감↑

  • 회사소개 인사말
  • 오시는길
  • 회원서비스이용약관

© 2025 Alabama Korean TImes - empowered by ApplaSo.

No Result
View All Result
  • 홈
  • AL/로컬/지역
  • 타운뉴스
  • 한국
  • 정치/경제
  • 미국/국제
  • 문화/예술
  • 연예/스포츠
  • 사회
  • 생활/건강
  • 인물/피플
  • 종교
  • 비디오
  • 산업/IT/과학
  • 사설/칼럼

© 2025 Alabama Korean TImes - empowered by Appla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