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치러진 13일, 한국 사회는 또 한 번 수능이라는 국가적 이벤트에 맞춰 숨을 고르게 됐다. 외신들도 한국의 독특한 수능 문화와 시험 당일 국가적 지원 체계에 주목했다.
영국 인디펜던트는 올해 수능이 13시간 동안 진행됐으며, 55만4000명이 넘는 수험생이 응시했다고 전했다. 매체는 “한국에서 수능은 단순한 시험이 아니라 대학 입학, 취업, 그리고 사회적 이동의 중요한 관문”이라며 한국 사회 구조 속 수능의 절대적 비중을 강조했다.
시험 전날 전국의 사찰과 교회에 수험생 가족들이 몰려 기도하는 풍경, 찹쌀떡 등 행운의 선물을 주고받는 모습도 외신의 관심을 끌었다. 많은 학생이 미역국을 먹지 않는 관습에 대해서는 “미끄러진다”는 속설에 따른 것이라고 소개했다.
수능 당일에는 국가적 개입 수준도 집중 조명됐다. 인디펜던트는 한국 언론을 인용해 전국적으로 1만475명의 경찰과 2238대의 순찰차가 투입돼 교통 통제와 학생 호송에 나섰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공공기관과 기업들은 출근 시간을 조정했고, 증시는 1시간 늦게 개장했다.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대형 차량의 이동 경로까지 변경했다.
가장 인상적인 조치로는 영어 듣기 평가 중 이뤄지는 항공기 이착륙 중단이 꼽혔다. 매체는 “35분 동안 항공기 이착륙이 금지되고 드론 운항이 멈추며, 공사장조차 소음을 피하기 위해 작업을 중단했다”고 전했다. AFP는 이날 오후 1시 5분부터 1시 40분 사이 국제선을 포함한 140편 항공기 일정이 조정됐다고 보도했다.
외신들은 또 한국의 수능이 사회적 이동성, 경제적 안정, 나아가 결혼에도 영향을 미칠 만큼 중요한 인생의 전환점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