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은 26일(현지시간) 미국 개발자들이 제기한 집단 소송과 관련해 합의에 도달했다며 앱스토어 사업과 관련해 변경된 정책을 발표했다. 앞서 지난 2019년 미국 내 개발자들은 애플이 30%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등 반독점법을 위반했다며 집단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애플은 “이번 합의는 개발자들이 iOS 앱 외부에서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구매 옵션을 공유하고, 구독, 인앱 결제, 유료 앱에 대한 다양한 가격을 제안할 수 있으며, 자격을 충족하는 미국 개발자들을 지원해주는 새로운 기금을 설립한다는 내용을 포함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표된 정책은 크게 7가지다. △지난해 발표한 연 매출 100만달러 미만 사업자 15% 수수료 감면 혜택 3년간 유지 △다운로드, 별점 평가 등 객관적 지표에 기반한 앱스토어 검색 결과 반영 △이용자에게 앱 외부 결제 방식 정보를 공유하는 것에 대한 명시적 허용 △구독, 인앱결제, 유료 앱에 대해 개발자가 선택할 수 있는 기준 가격 수를 100개 미만에서 500개 이상으로 확장 △앱 승인 거부에 대한 이의 제기 절차 유지 및 설명 강화 △앱스토어 연간 투명 보고서 작성 △소규모 미국 개발자들을 위한 기금 설립 등이다.
이번 정책에서 눈에 띄는 건 앱 외부 결제에 대한 유연한 정책 적용이다. 기존에 애플은 인앱결제 방식을 고수하며 이에 대한 30% 수수료를 부과하고, 외부 결제로 우회하는 방법을 막아왔다. 이에 대해 독점 논란이 불거지자 인앱결제를 기본값으로 가져가되 외부 결제에 대해 이전보다 유연한 정책을 펴는 것으로 보인다.
애플은 이번 정책이 미국 내 집단소송으로 인한 합의 결과라고 발표했지만, 국내 국회 본회의 통과를 앞둔 구글 갑질 방지법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법안이 국회를 통과할 경우 한국을 기점으로 앱마켓에 대한 반독점 규제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될 것으로 전망되는 탓이다.
애플은 지난 25일 구글 인앱결제 강제 도입을 막는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를 통과하자 보안 문제, 개발자 수익 감소 등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며 반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구글 갑질 방지법은 앱마켓 규제와 관련된 세계 첫 사례로,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미국 상원에서는 국내 법안과 비슷한 내용의 ‘오픈 앱마켓 법안’이 발의됐으며, 미국 유타주, 뉴욕주 등 36개 주와 워싱턴DC는 구글을 상대로 반독점 소송을 제기했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애플을 앱마켓 경쟁 방해 혐의로 기소했다.
뉴욕타임스(NYT) 등 주요 외신들은 애플과 구글이 한국 법안 통과를 막기 위해 로비를 벌이고 있다는 보도를 쏟아내고 있다. 구글 갑질 방지법은 오는 30일 열리는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될 것으로 전망된다.




![[패럴림픽] 유도 최광근·이정민 금빛 메치기 나선다](https://alabamakoreantimes.com/wp-content/uploads/2021/08/패럴림픽金13개걸린유도…최광근·이정민금빛메치기나선다-75x75.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