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11일 검사 전원이 참석하는 회의를 열고 통신자료 조회 등 최근 논란이 된 현안과 개선방안을 논의한다.
공수처는 이날 오후 김진욱 처장과 여운국 차장을 비롯한 소속 검사 전원이 참석하는 비공개 회의를 연다.
당초 공수처는 7일 회의를 열 계획이었지만, 소속 직원 1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으면서 잠정 연기된 바 있다.
공수처는 야당 의원과 기자, 교수, 일반 시민의 통신자료를 무더기로 조회했다는 논란에서 한 달째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공수처는 “수사 대상자의 통화 상대방을 확인하기 위한 적법한 절차”라고 반박했지만, 정치권과 시민사회에서는 조회 시기와 대상을 선별하지 않고 무차별적으로 조회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특히 공수처에 비판적인 보도를 한 일부 기자를 상대로 통신 영장을 발부받아 강제수사에 나선 사실이 드러나며 ‘사찰’ 논란까지 제기됐다.
공수처가 외부 인사들이 주축이 돼 통신 관련 수사 활동의 문제점을 점검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만큼, 이날 회의에서는 통신자료 조회를 둘러싼 논란과 개선 방안이 주요 안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회의는 잇단 논란으로 침체된 내부 분위기를 결속하기 위한 차원으로도 해석된다.
통신자료 논란에 공수처로부터 압수수색을 당한 검사들이 절차적 문제를 이유로 법적 대응까지 나서면서 ‘고발사주 의혹’을 비롯한 주요 사건 수사는 표류하고 있다. 공수처에 파견됐던 경찰 수사관 대부분이 이달 순차적으로 복귀하면서 조직 재정비도 필요한 상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