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실은 26일 북한 무인기의 우리 영공 침범에 대해 “국가안보실장 중심으로 실시간 대응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무인기 영공 침범에 대한 질문에 이처럼 답했다.
이날 대통령실은 따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소집하지는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오늘과 같은 상황은 북한이 탄도미사일 시험발사와 같은 ‘전략도발’이 아니라 소형무인기를 우리 영공에 침투시키는 ‘실제적 도발’을 했기 때문에 실시간 대응조치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따라서 NSC를 열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며 “합참에서 대응했고, 국가안보실장과 안보실 관계자들은 대응상황을 모니터링하면서 수시로 대통령께 보고했다”고 밝혔다.
한편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우리 군은 이날 오전 10시25분쯤 경기도 김포시 전방 및 MDL 북쪽 상공에서 북한 무인기들의 이상항적을 처음 발견했다. 이후 우리 군은 경기도 김포·파주, 인천 강화 상공까지 내려온 무인기를 차례로 포착했다.
우리 군 당국은 이들 북한 무인기의 영공 침범을 포착한 뒤 즉각 KA-1 경공격기를 비롯한 공군전력과 육군 공격헬기 등을 발진시켰다. 이날 오후 강화 교동도 인근 해안가 상공을 날던 북한 무인기 1대를 레이더로 탐지한 우리 군 헬기가 1차례(20㎜탄 100여발) 사격을 가했지만 격추엔 실패한 것으로 파악됐다.
결과적으로 영공을 침범했던 북한 무인기 5대 모두 우리 군의 추적·격추 시도를 피해 북한으로 되돌아간 것을 보인다.
대응을 위해 기지에서 이륙하던 KA-1 경공격기(전술통제기)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조종사 2명은 비상탈출에 성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