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세가 둔화하는 가운데 인천과 경기의 상승 폭이 가파르게 줄어들고 있다. 약 한 달간 인천과 경기 둔화 폭은 서울의 2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8일 기준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률은 1주 전보다 0.23% 상승했다. 상승세는 계속됐으나, 상승 폭은 전주(0.26%)보다 0.03%포인트(p) 줄어 지난해 12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역별로 서울 변동률은 0.14%를 기록, 3주 연속 상승 폭이 축소했다. 경기와 인천 역시 각각 0.33%, 0.27%로 집계, 1주 전보다 상승세가 둔화했다.
상승세 둔화 폭은 서울보다 인천, 경기는 더 컸다. 서울은 최근 3주간 0.01%p씩 둔화하는 데 반해 인천과 경기는 0.04%p 떨어지기도 했다.
인천과 경기 이번 주 상승률은 최근 크게 둔화했다. 10월 초와 비교하면, 인천은 0.11%p, 경기는 0.14%p 줄었다. 같은 기간 서울의 상승 둔화 폭은 0.05%p다.
올해 수도권 집값 상승세를 견인한 외곽 지역의 둔화세는 뚜렷하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C노선 수혜로 올해 집값이 크게 오른 의왕시는 상승세가 최근 0.35%까지 줄었다. 여전히 높은 수준이지만, 1달 전보다 0.2%p 이상 줄었다. 안양 동안구 역시 같은 기간 0.49%에서 0.35%로 상승 폭이 축소했다. 규제 지역으로 묶여 있는 수도권 대부분 지역의 상승세가 줄었다.
부동산업계는 대출 규제 효과라고 분석했다.
서울은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를 비롯해 주요 지역의 아파트값이 대출 금지선인 15억원을 넘긴 경우가 많아 이번 시중은행 대출 한도 축소 또는 중단의 피해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반면 서울 중저가 아파트 밀집 지역과 수도권 외곽 지역은 대출 제한 사정권에 있어 규제 효과가 컸다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제한적인 주택담보대출로 수도권 아파트 매수 심리가 축소하고 거래량이 급격히 줄고 있다”면서도 “다만 15억원 이상의 초고가 아파트는 (대출 규제와 상관없이) 수요가 여전해 매도자 우위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출 규제 효과가 중저가 아파트 밀집 지역에서 먼저 나타나 서울 주요 지역과 수도권 외곽의 상황을 달리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