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일, 10월 23, 2025
Advertisement
  • 홈
  • AL/로컬/지역
  • 타운뉴스
  • 한국
  • 정치/경제
  • 미국/국제
  • 문화/예술
  • 연예/스포츠
  • 사회
  • 생활/건강
  • 인물/피플
  • 종교
  • 비디오
  • 산업/IT/과학
  • 사설/칼럼
No Result
View All Result
  • 홈
  • AL/로컬/지역
  • 타운뉴스
  • 한국
  • 정치/경제
  • 미국/국제
  • 문화/예술
  • 연예/스포츠
  • 사회
  • 생활/건강
  • 인물/피플
  • 종교
  • 비디오
  • 산업/IT/과학
  • 사설/칼럼
No Result
View All Result
No Result
View All Result
  • 홈
  • AL/로컬/지역
  • 타운뉴스
  • 한국
  • 정치/경제
  • 미국/국제
  • 문화/예술
  • 연예/스포츠
  • 사회
  • 생활/건강
  • 인물/피플
  • 종교
  • 비디오
  • 산업/IT/과학
  • 사설/칼럼
Home 문화/예술

관아 건축 문화재 8건 보물 지정 예고

조선 시대 관리들이 모여 나랏일 처리한 관공서

앨라배마 타임즈 | Alabama Korea Times by 앨라배마 타임즈 | Alabama Korea Times
10월 28, 2021
in 문화/예술
0
관아 건축 문화재 8건 보물 지정 예고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정면). 문화재청 제공

Share on FacebookShare on Twitter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정면).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은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 등 조선 시대 관리들이 모여 나랏일을 처리하던 관공서를 뜻하는 관아(官衙) 건축 문화재 8건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이번에 지정 예고한 관아 문화재들은 지역적으로 살펴보면 서울 1건, 대구 1건, 경기도 3건, 강원도 2건, 경남도 1건이며, 행정체제상으로는 중앙 관아가 1건, 지방 관아로는 감영(중앙에서 지방 8도에 파견된 관찰사가 정무를 보는 관청)과 동헌(각 읍치에서 지역행정을 총괄하는 지방관의 집무 공간) 3건, 객사(왕궁을 향해 절을 올리는 곳) 2건이며, 남한산성의 병영 관아 2건도 포함한다.

관아건축이란 왕조시대 관원들이 모여 나랏일을 다스리기 위해 지은 건축물로, 중앙집권의 행정체제가 마련된 조선 시대의 지방 행정도시에는 동헌을 중심으로 하는 관아건축이 전국적으로 건립되어 그 수효가 상당했지만, 현재는 거의 남아있지 않다.

도시지역에 집중된 관아건축은 수차례의 전쟁으로 파괴되기 쉬웠고, 근대도시로의 변화과정에서 급격히 소멸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그나마 현존하는 관아 대부분은 지방에 있고, 일제강점기 이후부터는 대부분 지역에서 학교 등으로 전용되면서 상당 부분 변형되어 사용됐다. 특히, 한성부(서울의 행정, 사법을 맡던 관아)에 있던 관아들은 현재 3개동만 남은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으로 관아건축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다른 건축유형에 비해 소홀했던 원인이 됐다.

관아건축은 본래 관원이 나랏일을 보는 곳인 만큼 궁궐건축이나, 사찰건축과는 달리 화려하지 않으나, 구조적으로는 비교적 높은 기단, 익공식 공포, 팔작지붕 등을 사용하여 일반민가와 달리 단아하면서도 위엄 있게 지어졌다.

거제 기성관. 문화재청 제공

이번 보물 지정 예고하는 관아건축 문화재는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 △대구 경상감영 선화당 △남한산성 수어장대 △남한산성 연무관 △안성 객사 정청 △강릉 칠사당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 △거제 기성관 등 총 8건이다.

이중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은 은 조선 시대 관공서 중 최고 등급인 정1품아문의 하나인 종친부(宗親府) 건물로, 관아건축이면서 궁궐건축의 격식을 갖춘 건물이다.

흥선대원군 집권 당시 왕권강화의 일환으로 종친부의 권한과 조직을 확대하면서 종친부 건물이 대규모로 늘어날 당시 중건(1866)되었다. 당시 경근당은 대군, 왕자군 등 종친들의 대청으로 종친부의 중심 건물로서, 좌우로 각각 옥첩당과 이승당을 두고 복도각으로 연결되어 있었지만 이승당은 1950년대 이후 사라졌다.

경근당은 정면 7칸, 옆면 4칸으로 된 이익공 공포의 팔작지붕 건물이며, 정면에는 넓은 월대를 두었고, 옥첩당은 정면 5칸, 옆면 3칸으로 된 초익공의 팔작지붕으로, 건축물의 규모나 공포의 형식 모두 경근당 보다 격을 낮추어 위계를 두었다.

경근당과 옥첩당은 고종대 302칸에 달했던 종친부 건축군의 중심 전각으로서 19세기 중앙 관아 건축의 배치와 구성, 연결방식을 잘 보존하고 있는 사례로 역사적 가치가 높다.

또한, 1981년 경근당과 옥첩당은 다른 곳으로 이전하였다가 2013년 다시 원위치로 이전되었지만, 당초의 모습을 최대한 유지하며 많은 부재를 재사용했다는 점이 건축물의 진정성을 입증하는 충분한 근거가 됐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한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 등 8건의 관아건축 문화재에 대하여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수렴된 의견을 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 절차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한다.

앨라배마 타임즈 | Alabama Korea Times

앨라배마 타임즈 | Alabama Korea Times

Related Posts

전남 글로컬 K-에듀센터, 애틀랜타 코리안페스티벌서 홍보
AL/로컬/지역

전남 글로컬 K-에듀센터, 애틀랜타 코리안페스티벌서 홍보

10월 20, 2025
몽고메리 트로이대서 첫 ‘K-웨이브 데이’
AL/로컬/지역

몽고메리 트로이대서 첫 ‘K-웨이브 데이’

9월 23, 2025
전남교육청, 트로이대에 ‘글로컬 K-에듀센터’ 개소
AL/로컬/지역

전남교육청, 트로이대에 ‘글로컬 K-에듀센터’ 개소

9월 2, 2025
Next Post
“평화롭게 놔뒀으면” 백건우, ‘PD수첩’ 윤정희 보도 반박·호소 [N현장](종합)

"평화롭게 놔뒀으면" 백건우, 'PD수첩' 윤정희 보도 반박·호소 [N현장](종합)

‘미나리’ 윤여정, 배우 최초 ‘최고 훈장’ 금관문화훈장 수훈

'미나리' 윤여정, 배우 최초 '최고 훈장' 금관문화훈장 수훈

황대헌, 쇼트트랙 월드컵 2차 대회 1500m·500m 예선 통과

황대헌, 쇼트트랙 월드컵 2차 대회 1500m·500m 예선 통과

  • 회사소개 인사말
  • 오시는길
  • 회원서비스이용약관

© 2025 Alabama Korean TImes - empowered by ApplaSo.

No Result
View All Result
  • 홈
  • AL/로컬/지역
  • 타운뉴스
  • 한국
  • 정치/경제
  • 미국/국제
  • 문화/예술
  • 연예/스포츠
  • 사회
  • 생활/건강
  • 인물/피플
  • 종교
  • 비디오
  • 산업/IT/과학
  • 사설/칼럼

© 2025 Alabama Korean TImes - empowered by Appla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