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무역협회·KOTRA를 중심으로 지난 2월 출범한 글로벌 공급망 분석센터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장기화로 농산물 가격 인상 우려를 비롯해 최근 인도네시아 정부의 인니산 팜유 수출 금지 발표 등 식량안보 차원의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이날 공급망 이슈의 상시·전문 분석기관인 ‘글로벌 공급망 분석센터’를 방문해 중국의 제로코로나 봉쇄조치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등과 관련한 공급망 현안을 점검하고, 글로벌 공급망 정보 수집 및 위기 대응을 위한 민-관 협력 강화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글로벌 공급망 분석센터는 최근 중국 및 러시아 관련 공급망 동향·이슈 발표를 통해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했다.
분석센터는 “중국 상하이 지역 봉쇄는 3월28일부터 한 달 이상 이어지고 있으며, 중국 정부의 중점 산업·기업의 조업 재개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지 방역·물류 상황 등 감안 시 정상화까지는 시일이 더 필요할 것”으로 평가했다.
센터는 이어 “현재 중국 상하이로부터 부품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일부 국내 완성차 공장에서 가동 애로가 발생하고 있다”면서 “상하이 인근 장쑤성에는 반도체·배터리·자동차 등 우리 기업의 생산기지가 집중되어 있는 만큼 공급망 관리에 더욱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중국의 노동절 연휴(4월30일~5월4일) 이후 코로나 확산 및 봉쇄조치 확대 가능성에도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도 두 달 이상 장기화 되어 가면서 원자재 공급 불안 및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우리 기업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세계 3대 곡창지대 중 하나인 우크라이나 흑토 지역에서 봄철 파종이 원활하지 않아, 올해 가을 수확량 감소 등 농산물 가격 인상도 우려되고 있으며 최근 인도네시아 정부가 인니산(産) 팜유 수출 금지를 발표하는 등 식량안보 차원의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센터는 제조업 외에도 식량 등 연관 분야 공급망까지 확장해 정보를 제공하고 협력해 줄 것을 제안했고, 기존 업종별 협단체 외에도 종합상사 및 민간기업의 역량들도 결집해 대체공급선 확보, 해외 자원개발 등에 대해서도 정부가 관심을 갖고 지원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여 본부장은 “효과적인 공급망 대응을 위해서는 기업 현장에 기반한 민-관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글로벌 공급망 분석센터가 기업·협회·연구기관 등과 긴밀한 협력체계를 기반으로 공급망 관련 정보 및 대응의 허브 역할을 수행해 달라”고 당부했다.
여 본부장은 “우리 기업들도 현재 정부와 유관기관들이 제공하고 있는 물류·금융·법률·정보 등 각종 지원제도들도 적극 활용해 달라”면서 “분석센터와 협력기관들도 우리 기업들을 위한 창의적인 지원방안을 지속 발굴해 달라”고 요청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