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일, 10월 22, 2025
Advertisement
  • 홈
  • AL/로컬/지역
  • 타운뉴스
  • 한국
  • 정치/경제
  • 미국/국제
  • 문화/예술
  • 연예/스포츠
  • 사회
  • 생활/건강
  • 인물/피플
  • 종교
  • 비디오
  • 산업/IT/과학
  • 사설/칼럼
No Result
View All Result
  • 홈
  • AL/로컬/지역
  • 타운뉴스
  • 한국
  • 정치/경제
  • 미국/국제
  • 문화/예술
  • 연예/스포츠
  • 사회
  • 생활/건강
  • 인물/피플
  • 종교
  • 비디오
  • 산업/IT/과학
  • 사설/칼럼
No Result
View All Result
No Result
View All Result
  • 홈
  • AL/로컬/지역
  • 타운뉴스
  • 한국
  • 정치/경제
  • 미국/국제
  • 문화/예술
  • 연예/스포츠
  • 사회
  • 생활/건강
  • 인물/피플
  • 종교
  • 비디오
  • 산업/IT/과학
  • 사설/칼럼
Home 문화/예술

고국 품으로 돌아온 문화재 40여점, 한 자리서 만난다

국립고궁박물관서 '나라 밖 문화재의 여정' 특별전 '열성어필' '백자동채통형병' '면피갑' 등 처음 공개

앨라배마 타임즈 | Alabama Korea Times by 앨라배마 타임즈 | Alabama Korea Times
7월 6, 2022
in 문화/예술
0
고국 품으로 돌아온 문화재 40여점, 한 자리서 만난다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나라 밖 문화재의 여정' 특별전 언론 공개회에서 관계자들이 '열성어필' 등 전시품을 살펴보고 있다. 오는 7일부터 9월25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에서는 외국으로 반출됐다 돌아온 문화재 40여점을 볼 수 있다. 2022.7.6/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Share on FacebookShare on Twitter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나라 밖 문화재의 여정’ 특별전 언론 공개회에서 관계자들이 ‘열성어필’ 등 전시품을 살펴보고 있다. 오는 7일부터 9월25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에서는 외국으로 반출됐다 돌아온 문화재 40여점을 볼 수 있다. 2022.7.6/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외국으로 반출됐다가 돌아온 우리 문화재 40여점을 볼 수 있는 전시가 열린다.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7일부터 9월25일까지 고궁박물관 1층 기획전시실에서 특별전 ‘나라 밖 문화재의 여정’을 연다고 6일 밝혔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설립 10주년을 맞아 열리는 이번 전시를 통해 일본과 미국에서 환수한 문화재 3점이 처음으로 공개된다.

지난해 3월 일본 개인소장자로부터 환수한 ‘나전 매화, 새, 대나무 상자’는 전복이나 조개껍데기로 문양을 만들어 붙이는 나전 기법을 활용한 공예품이다.

조선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제작 수준과 보존 상태가 양호해 전시, 연구 등의 활용 가치가 높은 유물로 꼽힌다.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나라 밖 문화재의 여정’ 특별전 언론 공개회에서 관계자들이 ‘나전 매화, 새, 대나무 상자’ 등 전시품을 살펴보고 있다. 2022.7.6/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열성어필’은 조선시대 왕의 글씨(어필)를 탁본해 엮은 책이다.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을 격으며 많은 어필이 사라졌는데 1662년 남아있는 어필을 모아 첫 열성어필이 간행되기도 했다. 전시된 열성어필은 1722년에 간행된 이후 3년만인 1725년에 새로운 어필을 추가해 묶은 드문 형태다.

백자 표면을 구리 안료로 장식한 ‘백자동채통형병’은 한국에서 선교사로 활동했던 스탠리 스미스(1876~1954)가 소장했던 것으로, 문화재의 반출 사례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국외소재문화재단은 지난 3월 미국 경매에 출품된 열성어필과 백자동채통형병을 구입했다.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나라 밖 문화재의 여정’ 특별전 언론 공개회에서 관계자들이 ‘백자동채통형병’ 등 전시품을 살펴보고 있다. 2022.7.6/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아울러 한강 동호(東湖·뚝섬에서 옥수동에 이르는 곳) 일대에서 선비들이 뱃놀이를 즐기는 모습을 그린 ‘독서당계회도’도 처음 일반 관람객과 만난다. 앞서 언론을 통해 공개된 바 있는 이 작품 역시 미국 경매를 거쳐 환수됐다.

이번 전시는 1부 ‘나라 밖 문화재’, 2부 ‘다시 돌아오기까지’, 3부 ‘현지에서’로 구성됐는데, 1부에서는 우리 문화재가 외국으로 나간 과정을 살핀다.

일제가 유출했으나 민관 협력으로 2006년에 환수한 국보 ‘오대산사고본 조선왕조실록’, 한국전쟁 때 도난당했다가 2014년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돌아온 보물 국새 3점을 볼 수 있다.

‘황제지보’는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며 만든 국새다. ‘유서지보’는 왕이 지방 관원에게 내린 명령서(유서)에, ‘준명지보’는 세자시강원(조선시대 세자 교육 기관)의 관리를 임명하는 문서에 썼다.

© 뉴스1

2부에서는 문화재 환수의 여러 방법을 보여준다.

한·일 수교 50주년을 기념해 일본 소장기관에서 기증받은 ‘덕혜옹주 당의와 스란치마'(2015년), 한미 간 수사공조로 불법성을 확인하고 환수한 ‘호조태환권 원판'(2013년) 등이 대표적이다.

덕혜옹주가 어릴 때 입었던 예복인 당의와 스란치마는 당대 최고 수준의 왕실 복식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호조태환권 원판은 옛 화폐를 회수하기 위해 발행한 교환권의 인쇄 원판이다. 호조태환권은 실제 유통되지는 못했지만 조선이 만든 최초의 근대적 화폐라는 상징적 의미가 있다.

2018년과 2019년 독일의 상트오틸리엔수도원, 로텐바움세계문화예술박물관이 자발적으로 기증한 ‘면피갑'(조선 후기 보병들이 입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갑옷), ‘문인석'(조선시대 사대부 능 앞에 세운 돌) 한 쌍도 처음 대중들 앞에 선다.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나라 밖 문화재의 여정’ 특별전 언론 공개회에서 관계자들이 ‘면피갑’ 등 전시품을 살펴보고 있다. 2022.7.6/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나라 밖 문화재의 여정’ 특별전 언론 공개회에서 관계자들이 ‘문인석’ 등 전시품을 살펴보고 있다. 2022.7.6/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3부는 해외에 있는 우리 문화재가 국내로 환수되지 않더라도 현지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도록 노력한 그간의 성과를 다뤘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에 따르면 올해 1월1일 기준 해외 25개국에 있는 우리 문화재는 21만4208점으로 추정된다. 재단이 본격적으로 활동한 2013년부터 올해 6월까지 환수한 국외 문화재는 총 784점이다.

김계식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사무총장은 “문화재 환수 등의 업무를 위해 지난 10년간 직원들이 비행한 거리는 지구를 160바퀴 돈 것과 동일하다”고 설명했다.

김충배 국립고궁박물관 전시홍보과장은 “약 21만점에 이르는 문화재를 모두 환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있는 장소에서 잘 보존되고 활용되도록 하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앨라배마 타임즈 | Alabama Korea Times

앨라배마 타임즈 | Alabama Korea Times

Related Posts

전남 글로컬 K-에듀센터, 애틀랜타 코리안페스티벌서 홍보
AL/로컬/지역

전남 글로컬 K-에듀센터, 애틀랜타 코리안페스티벌서 홍보

10월 20, 2025
몽고메리 트로이대서 첫 ‘K-웨이브 데이’
AL/로컬/지역

몽고메리 트로이대서 첫 ‘K-웨이브 데이’

9월 23, 2025
전남교육청, 트로이대에 ‘글로컬 K-에듀센터’ 개소
AL/로컬/지역

전남교육청, 트로이대에 ‘글로컬 K-에듀센터’ 개소

9월 2, 2025
Next Post
황보라, 김용건 며느리·하정우 제수 된다…”10년 열애 차현우와 결혼”

황보라, 김용건 며느리·하정우 제수 된다…"10년 열애 차현우와 결혼"

‘핸썸’ 신현준 “조세호 ‘셀카’ 보기 거북해 SNS ‘언팔로우'” 너스레

'핸썸' 신현준 "조세호 '셀카' 보기 거북해 SNS '언팔로우'" 너스레

전영록, 데뷔 50주년 맞아 웹진 창간 ‘월간 전영록’

전영록, 데뷔 50주년 맞아 웹진 창간 '월간 전영록'

  • 회사소개 인사말
  • 오시는길
  • 회원서비스이용약관

© 2025 Alabama Korean TImes - empowered by ApplaSo.

No Result
View All Result
  • 홈
  • AL/로컬/지역
  • 타운뉴스
  • 한국
  • 정치/경제
  • 미국/국제
  • 문화/예술
  • 연예/스포츠
  • 사회
  • 생활/건강
  • 인물/피플
  • 종교
  • 비디오
  • 산업/IT/과학
  • 사설/칼럼

© 2025 Alabama Korean TImes - empowered by Appla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