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9일 치러진 제20대 대통령선거에서 불과 0.8%p 간발의 차이로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에게 석패하면서 대권 도전의 꿈을 또 한번 접게 됐다.
이 후보는 10일 새벽 윤석열 후보의 당선이 유력시되자 당사에 나와 패배를 인정하고 “모든 것은 다 제 부족함 때문”이라며 “여러분의 패배도, 민주당의 패배도 아니다. 모든 책임은 오롯이 제게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최선을 다했지만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다”며 “전국에서 일상을 뒤로 하고 함께해 준 많은 국민 여러분, 밤낮 없이 땀 흘린 선거대책위원회 동지, 자원봉사자, 당원 동지에 죄송하다는 말과 함께 여러분의 뜨거운 헌신에 고마움을 전한다”고 했다.
이 후보의 패배 배경으로는 대선 정국 내내 줄곧 과반을 넘나들었던 정권교체 여론과 자신을 줄곧 따라다닌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이 우선 꼽힌다.
이 후보는 지난해 10월 일찌감치 거대 여당의 대선 후보로 선출되며 여당 최초의 ‘국회의원 경험 없는 대선 후보’란 타이틀을 얻었다.
지난해 들어 한 번도 여당 1위 후보 자리를 내주지 않았던 이 후보는 ‘대세론’을 증명했지만, 경선 직후 이낙연 전 대표 측의 이의제기 움직임으로 잡음이 나왔고 ‘당내 입지가 좁다’, ‘친문(親문재인)의 지원을 오롯이 받지 못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선거를 컨트롤하는 선거대책위원회 구성에서도 잡음이 새어 나왔다. 이에 이 후보는 선대위 쇄신안과 함께 경선 후보들과 잇따른 회동으로 ‘원팀’을 띄웠지만, 결과적으로 국민의힘보다 한 달가량 먼저 진행한 경선으로 인한 컨벤션 효과(정치 이벤트를 통해 지지율이 상승하는 현상)를 제대로 누리지 못했다.
상대인 윤 당선인이 경선 과정 지지율 급락을 반복한 것에 비해 30%대 공고한 지지율을 지켰지만, 확실한 1강 후보 자리까진 오르지 못했다.
원인으론 문재인 대통령의 역대급 국정지지율과 절반을 넘는 정권교체론이 꼽힌다. 이 후보는 이번 대선 과정에서 문 대통령의 40%대 국정지지율을 쉽사리 뛰어넘지 못했다.
자신이 여러 차례 사과했음에도 불구하고 지난 2017년 대선 경선 당시 문재인 후보에 대한 거친 공격으로 인해 ‘반문'(反문재인) 꼬리표를 쉽게 떼지 못한 것이다.
50%를 넘는 굳건한 정권교체론은 넘기 힘든 큰 벽이었다. 이 후보는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해 여러 차례 사과하고 ‘이재명의 민주당’, ‘정치교체론’을 띄우며 차별화를 시도했지만, 그때마다 친문 진영과 야권의 공세가 이어졌다.
과거 ‘욕설 논란’, ‘여배우 스캔들’ 등 자신을 둘러싼 논란뿐 아니라 지지율 상승 곡선에서 아들의 상습도박 의혹, 배우자 김혜경씨의 과잉 의전 논란 등 가족의 사생활을 둘러싼 의혹이 끊이지 않았던 것도 패인의 하나로 꼽힌다.
이 후보는 그때마다 고개를 숙이며 사과하며 사태 수습에 발 빠르게 나섰지만, ‘역대급 비호감 대선’이란 오명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특히 당내 경선은 물론 야권의 집중 공격을 받은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을 둘러싼 공방은 현재 진행형이란 평가가 나올 만큼 이 후보에게 큰 타격을 줬다.
이 후보는 대장동 사업에 대해 국민의힘이 막아서 불가피하게 민관 공동개발을 했고, 그 속에서도 공공 이익을 환수한 사업이라고 해명하고, 윤 당선인의 부산저축은행 대출 비리 사건 부실 수사로 화살을 돌렸지만 ‘이재명 게이트’란 윤 당선인의 주장을 넘지 못했다.
여기에 선거 막판 오미크론 대유행이 정점을 향해 치달으면서 연일 20만~30만명의 확진자가 쏟아진 것이나, 사전투표 부실 관리 사태가 터진 것도 집권 여당 후보로서 유권자들로부터 감점을 받는 요인이 됐을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