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5월 개방된 청와대에 지금까지 125만명의 관람객이 다녀가면서 청와대 보존을 위한 체계적 관리 추진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문화재청 청와대국민개방추진단은 14일 수목 및 시설물 훼손 방지에 힘쓰고 있다고 밝혔다.
우선 추진단은 훼손 방지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외곽 담장, 기와·난간을 관리하고 있다. 또한 이번 여름 장마·태풍에 대비해 배수시설도 점검했다.

또한 관람로 주변 녹지 보호를 위한 울타리와 잔디보호 안내판 설치, 수목 병해충 방제, 고사목 제거 등 조경 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쾌적한 관람환경 조성을 위한 안내판은 물론 그늘막, 휴게의자 등 기본적인 편의시설도 확충하고 있다.

이외에도 추진단은 ‘청와대 관람 등에 관한 규정’을 만들어 경내 제한 행위와 반입금지 물품, 촬영 및 장소 사용 허가에 대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참고로 소란, 음주, 흡연, 취사, 행상, 종교활동, 동식물 채집이나 토석 채취, 문화재 손상, 사전허가 받지 않은 무인비행장치 조종 등은 제한된다.
수박이나 참외 등의 과일류와 라면 등 국 종류, 취사도구와 야영용품, 악기와 앰프 등은 반입할 수 없다.
추진단 관계자는 “국민에게 열린 청와대가 푸름을 잃지 않고 오래도록 사랑받는 장소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