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와대는 7일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벌어진 한복 논란과 관련 “외교부 등 관련 부처에서 관련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날 오후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해당 논란에 대한 청와대 입장을 묻는 질문에 “한복이 우리 전통 의복문화라는 것은 전 세계가 인정하고 있는 사실로 이에 대해서는 재론의 여지가 없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지난 4일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중국은 56개 소수민족 대표 중 한 명으로 한복을 입은 여성을 등장시켰다. 흰 저고리에 분홍색 치마를 입고 댕기 머리를 한 이 여성은 다른 소수민족들과 함께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를 전달했다. 아울러 개막식 전 행사에서는 길림성 백산시 문화로 상모를 돌리고 윷놀이를 하는 사람들이 소개되기도 했다.
이를 두고 주요 여야 대선주자들은 중국의 문화공정이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고 특히 야당은 정부의 대중(對中)외교 저자세가 이러한 사태를 초래했다고 비판했다.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에 참석한 박병석 국회의장과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및 외교부 등은 이번 사안에 대해 우려의 뉘앙스를 표하면서도 중국에 대한 외교적 항의 계획에 대해서는 선을 긋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문재인 대통령 주재 참모회의에서도 한복 논란 관련 별도 논의나 문 대통령의 언급은 따로 없었다고 전했다.
한편 이 관계자는 북한 최고인민회의 소식이 전해지지 않고 있는 것에 대해 청와대가 파악하고 있는 동향이 있는지에 대해 “과거에도 비슷한 경우가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며 “오늘 통일부 정례 브리핑 언급을 참고하라”고만 했다.
북한은 지난 6일 소집할 것으로 예고한 최고인민회의 제14기 6차 회의 개최 소식을 예상과 달리 이날(7일) 전하지 않고 있다.
이종주 통일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은 지난 2020년 4월에도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3차 회의를 4월10일에 개최한다고 공시하고 사전 예고 없이 이틀이 지난 4월12일에 개최한 사실이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