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탄핵소추안이 국회 문턱을 넘은 가운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검찰 수사를 앞두고 당무에 집중하는가 하면 ‘원팀’을 강조하며 단일대오 구축에 나섰다.
다만 이 대표를 향한 검찰 수사가 정국을 집어삼키면서 이 대표의 민생 행보가 주춤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아울러 민주당은 이 장관 탄핵소추안에 이어 김건희 여사 특별검사(특검) 도입을 추진하고 있어, 당분간 여야의 기 싸움이 불가피하다는 예측도 제기된다.
이 대표는 오는 10일 오전 11시쯤 위례·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과 관련 서울중앙지검에 출석한다. 앞서 이 대표는 지난달 10일, 28일 각각 성남FC 후원금 의혹, 대장동 개발 의혹 관련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에 출석, 조사를 받았다.
이 대표는 검찰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며 내부 결속을 다지고 있다. 앞서 이 대표는 지난달 30일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고 검찰의 추가 소환 조사에 “모욕적이고 부당하지만 패자로서 오라고 하니 또 가겠다”고 재출석 의지를 내비쳤다.
이후 지난 주말엔 박근혜 전 대통령 퇴진 촉구 운동 이후 6년 만에 서울에서 대규모 장외투쟁을 열고 “정치가 아닌 정쟁을 하고, 상대를 죽이려는 정치보복에 국가역량을 낭비하는 바람에 대한민국의 민주주의가 추락했다. 어떤 핍박도 의연히 맞서겠다”고 했다.
이 대표는 검찰을 향해선 작심 비판을 이어가는 한편 당내 잡음을 잠재우기 위한 내부 결속에도 힘을 쏟았다.
그는 지난 3일 페이스북을 통해 자신의 지지자들을 향해 “저와 함께하는 동지라면 문자폭탄 같은 내부를 향한 공격은 중단해주시기 바란다. 비난과 다툼으로 우리 안의 갈등과 균열이 격화되는 것은 자해행위”라며 “이재명 지지자의 이름으로 공격받고 상처받으신 의원님들께는 사과 말씀을 드린다”고 양해를 구했다.
그러면서 “작은 차이를 넘어 총구는 바깥으로 돌리고 더 큰 원팀으로 똘똘 뭉치자”며 “민주당이 단단한 콘크리트가 되어 국민의 삶을 지키고, 무도한 정권의 퇴행적 폭주를 막아내자”고 덧붙였다.
이후 지난 7일엔 의원들을 향해 “다시 한번 부탁드린다. 이번 검찰 출석 때는 혼자 다녀오겠다”며 “출석에 동행하려는 마음은 감사하지만 그것이 갈등의 소재가 되질 않길 바라는 제 진의를 꼭 헤아려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다만 전날 사상 초유의 장관 탄핵이라는 강수를 둔 만큼 국민의힘을 비롯한 정부·여당의 ‘방탄’ 공세가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당분간 자신을 둘러싼 검찰 조사뿐 아니라 김건희 여사 특검 등 현안이 산적해 대표 취임 후 강조하던 민생 행보에 제동이 걸리며 오히려 이 대표를 향한 사법리스크가 부각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이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리는 국가균형발전특별위원회 발족식에 참석하는 것 외에 공개일정을 잡지 않고 당무에 집중한다.
이 대표 측 관계자는 “대장동 관련 의혹은 이미 검찰에 소명할 것을 다 했다. 서면으로도 제출했다. 더 준비할 게 없다”며 “당무 중심으로 비공개 일정을 이어갈 것”이라고 했다.
다만 이 대표는 오는 10일 예정된 대학생위원회 발대식엔 검찰 출석으로 참석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가 이어 온 ‘국민속으로, 경청투어’ 일정도 현재로썬 불투명한 상태다. 이 대표 측 관계자는 “2월 임시국회가 잡혀 있기 때문에 일정을 고려해 3월부터 시작할 것을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은 이 장관에 대한 탄핵소추안 의결을 시작으로 김건희 특검에 드라이브를 걸었다.
당내 강경파 초선 모임 ‘처럼회’ 소속 의원을 비롯해 친명(친이재명)계 의원으로 구성된 ‘김건희 특검 이상민 파면 추진 행동하는 의원 모임은’ 국회 내 ‘무기한 농성’에 돌입했다.
이들은 전날 이 장관에 대한 탄핵안이 가결된 후 회의를 열고 “이 장관의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것이 끝이 아니다. 이젠 김건희 특검에 집중한다”며 “특검 수용 시까지 24시간 철야 농성을 이어간다. 현실적으론 특검법의 패스트트랙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강경 대응을 예고했다.
이에 이 대표를 향한 검찰 조사가 정점에 달하면서 이에 맞서는 카드로 이 장관의 탄핵, 김 여사 특검 카드를 꼽았다는 분석이 적잖아 당분간 이 대표를 둘러싼 여야의 극한 대립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