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행정부가 지난 2월 중순 이후 비공개로 북한에 접촉을 시도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바이든 행정부 고위 관계자를 인용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현재 대북정책 검토 작업 중인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접촉 사실이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익명을 요구한 이 관계자는 상세한 설명 없이 “뉴욕(유엔주재 북한 대표부)을 포함해 지난 2월 중순부터 다양한 채널을 통해” 북한에 접촉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까지 우리는 평양 측으로부터 어떤 반응도 받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유엔주재 북한 대표부는 로이터통신의 논평요청에 응하지 않았다.
이 관계자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말기를 포함해 1년여 동안 미국과 북한 사이에는 적극적인 대화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 기간 동안 미국은 북한과 관여하기 위해 여러 시도”를 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행정부 말기인 2020년은 미국 대선 정국이 본격화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이 겹치면서 북미 간 대화는 사실상 단절된 것으로 보인다.
그간 대북 접촉에 신중한 모습을 보여 왔던 바이든 행정부가 지난달 중순부터 뉴욕채널 등을 통해 북한과의 접촉에 나선 것으로 알려지면서 ‘북한 비핵화’ 문제를 우선순위에 두고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이래 북핵 포기를 설득하지 못한 트럼프 전 정부의 대북 정책을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발표하고 ‘대북정책 검토(리뷰)’ 작업을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북측과의 접촉을 시도하며 비핵화를 위한 북미협상의 틀을 마련하고자 했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와 관련해 성 김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대행은 지난 12일 기자회견에서 대북정책 검토가 언제 끝날지 정확한 시간표는 없지만 속도를 내고 있다며 아마도 수 주내에 마무리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은 보도했다.
다만 북측이 미국의 접촉시도에 전혀 응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북한은 코로나19 대유행 발생에 따라 코로나19 방역을 국가 정책의 최우선 순위로 놓고 외부와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한 상황이다.
북측이 미국의 뉴욕채널의 접촉 시도에도 전혀 반응을 보이지 않음으로서 비핵화 문제를 놓고 북미 간 줄다리기가 여전히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북측의 입장에서는 비핵화를 강조하며 북미 간 접촉을 시도하는 미측의 ‘진정성’에 의심을 품고 있어, 일단 미국의 대북정책 리뷰가 끝나는 시점까지는 대응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또 미국 대통령 취임 직후 도발을 감행해온 북한에 대한 상황관리 차원에서 미국의 접촉시도가 나왔을 수 있다고 해석할 가능성도 있다.
최근 바이든 행정부는 대중 견제와 함께 ‘북한의 비핵화’를 우선 순위로 두는 분위기다. 앞서 미국·일본·인도·호주 4개국 정상은 12일(현지시간) 사상 처음으로 쿼드 정상회담을 열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라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전념을 재확인한다고 밝혔다.성 김 차관보 대행도 12일 “조 바이든 행정부가 검토 중인 새 대북정책의 핵심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고 말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은 오는 15일부터 18일까지 일본의 도쿄, 한국의 서울을 방문한다. 김 대행은 블링컨 장관은 아시아 순방일정 중에 지금 검토 중인 미국의 새 대북정책 내용을 소개하고 어떻게 협력할 수 있을지를 두고 의견 교환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