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와 염기서열분석 계약을 맺고 있는 유전자 연구기업 헬릭스의 윌 리 과학부문 대표 “검진 장소와 방법이 너무 다양하기 때문에 유전자 배열을 맞추기가 어려울 수 있다”며 “이는 물리적 난제”라고 말했다.
리 대표는 “미국은 의료 서비스 제공업체와 공중 보건기관의 운영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모든 데이터를 통합하기가 어렵다”고 설명했다.
CDC는 국가의 염기서열 분석 능력의 규모와 속도를 확대하기 위해 임상 실험회사와 대학 연구소와 제휴를 맺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미국의 유전자 배열 인프라가 느리고, 관료적이며, 변이 발견에 대한 진행도 느리다고 지적했다.
또한 미국은 각 관련 기관들이 데이터 공유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백신 접종률이 높은 다른 국가들에 비해 미국의 유전자 배열 능력은 뒤처지고 있다.
메사추세츠 브로드 연구소의 브론윈 맥이니스 병원체 유전자 감시 책임자는 “영국은 초기에 유전자 배열 분야에서 선두에 섰다”며 “미국은 올 초 변이 유전자들의 위협이 발생하고 나서야 유전자 배열 우선순위 작어벵 착수했다”고 말했다.
지난 30일 동안 미국은 2.8%의 양성 반응자를 선별해 이 정보를 변이 바이러스를 추적하는 데 도움이 되는 선도적인 글로벌 게놈 데이터베이스인 GISAID와 공유했다.
이에 비해 백신 접종률이 비슷한 영국과 이스라엘은 각각 9.3%와 8.5%의 양성 반응자를 검출해내 미국보다 3배 많은 데이터를 공유했다.
처리 속도도 문제다. 미국은 데이터를 GISAID에 추가하는 데 2주 이상이 걸렸다. 이에 비해 영국은 9일, 이스라엘은 12일이 소요됐다.
브로드 연구소의 브로닌 맥클리니스 연구원은 “우리는 확실히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능력을 보유하고 있고 전염병 기간 동안 양성 반응도 부족하지 않다”면서 “다만 다른 나라들과의 격차를 좁히는 데 가장 큰 장애물은 양성 반을 자료를 공유해 염기서열에 적용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각 주는 데이터 공유에 대해 각기 다른 규칙을 가지고 있어 변이가 어떻게 어디서 생겨나고 있는지에 대한 일관성 있는 그림을 구축하려는 시도를 방해하고 있다.
일부 주와 보건 부서는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이유로 인해 양성 반응을 보이는 개인이 예방 접종을 받았는지 여부와 같은 세부적인 위치 데이터나 정보를 공유하기를 꺼린다.
위스콘신 의과대학의 토머스 프리드릭 병리 생물학과 교수는 “그 경로의 각 단계에는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하고자 하는 올바른 규정이 마련되어 있지만, 이는 우리가 필요로 하는 정보의 신속한 공유를 막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