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사소개 인사말
  • 오시는길
  • 회원서비스이용약관
  • 개인정보보호정책
Thursday, October 2, 2025
Alabama Korea Times
Advertisement
  • 홈
  • AL/로컬/지역
  • 타운뉴스
  • 한국
  • 정치/경제
  • 미국/국제
  • 문화/예술
  • 연예/스포츠
  • 사회
  • 생활/건강
  • 인물/피플
  • 종교
  • 비디오
  • 산업/IT/과학
  • 사설/칼럼
No Result
View All Result
  • 홈
  • AL/로컬/지역
  • 타운뉴스
  • 한국
  • 정치/경제
  • 미국/국제
  • 문화/예술
  • 연예/스포츠
  • 사회
  • 생활/건강
  • 인물/피플
  • 종교
  • 비디오
  • 산업/IT/과학
  • 사설/칼럼
No Result
View All Result
Alabama Korea Times
No Result
View All Result
  • 홈
  • AL/로컬/지역
  • 타운뉴스
  • 한국
  • 정치/경제
  • 미국/국제
  • 문화/예술
  • 연예/스포츠
  • 사회
  • 생활/건강
  • 인물/피플
  • 종교
  • 비디오
  • 산업/IT/과학
  • 사설/칼럼
Home 한국

李대통령, 국방비·조선업 적극 활용시 한미동맹 새 기회

앨라배마 타임즈 | Alabama Korea Times by 앨라배마 타임즈 | Alabama Korea Times
June 4, 2025
in 한국
0
李대통령, 국방비·조선업 적극 활용시 한미동맹 새 기회
0
SHARES
0
VIEWS
Share on FacebookShare on Twitter

한국이 방위비 분담과 무역 카드를 잘 활용한다면 이재명 대통령의 ‘실용주의’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거래주의’가 만나 한미 동맹의 새로운 협력 기회가 나올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이재명 실용주의·트럼프 거래주의 한미 협력 기회”

앤드루 여 브루킹스연구소 한국 석좌는 이날 ‘한국 대선은 한미 동맹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라는 논평에서 이 대통령 당선으로 한미 관계에 기회와 위험이 모두 제기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여 석좌는 “이 대통령은 한미 동맹 강화와 동시에 중국, 북한과의 관계를 개선하는 균형 외교를 추진하려 한다”며 “미국 적대국들과의 관계 개선과 한미 동맹 유지를 함께 하려면 어려운 균형점이 필요하지만 이 대통령의 실용주의와 트럼프 대통령의 거래주의 사이 동맹 협력의 새로운 기회가 부상할 수 있다”고 했다.

여 석좌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계엄 선포로 촉발된 ‘정치적 드라마’가 마침표를 찍었지만 미국 일각에서 한미 사이 ‘조용한 위기’가 싹트고 있다는 우려가 높다고 설명했다.

그는 “여당인 민주당 내 이념적 진보주의자들이 이 대통령에 한미 간 거리두기를 압박할 수 있다”며 “트럼프 행정부가 한반도 안보 공약을 축소하거나 대중 견제를 위해 한국을 불편한 자리로 몰아갈 경우 더욱 그렇다”고 지적했다.

여 석좌는 그러면서도 “지정학적 변화와 대북 정책에 대한 이해관계가 한미 동맹에 더 큰 유연성과 일치성을 가져올 수도 있다”며 “무역 합의 결과와 동맹 분담 논의가 트럼프 대통령과 이 대통령 아래의 한미 관계 기조를 결정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양쪽 모두에게 승리인 무역 합의를 이룬다면 이 대통령은 한국 내 정당성을 강화하고 트럼프가 보기에 한국의 위상이 높아질 것”이라며 “미국이 양보 없는 일방적 요구를 한다면 이 대통령이 중국 쪽으로 더욱 기울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는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에 관심 있는데 이는 이 대통령에게 민주당의 오랜 공약인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환수를 이행할 문을 열어 줄 수 있다”며 “미국이 한국에 자체 방위에 대한 더 큰 책임을 장려할 경우 특히 그렇다”고 강조했다.

“방위비 증액과 조선 등 제조업 카드로 활용해야”

이 대통령이 한미 관계에 공존하는 위기와 기회를 활용한다면 트럼프 행정부에 대해 강력한 카드를 손에 쥘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 싱크탱크 애틀랜틱카운슬의 숀 크리머 스코크로프트 전략안보센터 비상주 수석 연구원은 “한국은 이미 국내총생산(GDP) 2.8%에 달하는 국방비를 지출하며 미국 동맹 중 가장 강력한 군사력을 보유한 나라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크리머 연구원은 “이 대통령은 방위비를 2026년까지 GDP 3% 이상으로 늘리고 2030년까지 최소 3.5%까지 늘리는 방안을 마련해 한국이 미국의 최우선 안보 파트너임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은 제조업이 매우 강력하며 특히 조선업이 그렇다”면서 “이 대통령이 한국의 조선업 우위를 활용해 트럼프 대통령의 미 해군 재건을 도움으로써 트럼프 대통령에게 정치적 승리를 안기고 미국의 글로벌 확장 억지력 유지 약속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한국의 첨단 제조 역량은 미국과 유럽의 재무장 노력에 추가적인 기회를 제공한다”며 “이 대통령이 이런 지원을 통해 세계 무대에서 한국의 경제적 이익을 더욱 유리한 쪽으로 증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 alabamakoreatimesmain
  • alabamakoreatimesmain
  • Home
  • Sample Page
  • 개인정보보호정책
  • 구인
  • 구직
  • 삽니다
  • 앨래배마코리아타임즈
  • 오시는길
  • 자유게시판
  • 팝니다
  • 홈
  • 홍보
  • 회사소개 인사말
  • 회원서비스이용약관

© 2025 JNews - Premium WordPress news & magazine theme by Jegtheme.

Welcome Back!

Login to your account below

Forgotten Password?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

Log In

Add New Playlist

No Result
View All Result
  • 홈
  • AL/로컬/지역
  • 타운뉴스
  • 한국
  • 정치/경제
  • 미국/국제
  • 문화/예술
  • 연예/스포츠
  • 사회
  • 생활/건강
  • 인물/피플
  • 종교
  • 비디오
  • 산업/IT/과학
  • 사설/칼럼

© 2025 JNews - Premium WordPress news & magazine theme by Jegthe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