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 국무부는 13일(현지시간) 문재인 대통령이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에 대해 거리를 둔 것과 관련해 ‘한국이 결정할 일’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잘리나 포터 미 국무부 부대변인은 이날 전화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의 베이징 올림픽 외교적 보이콧과 관련한 언급에 대한 질문에 “올림픽 참가에 대한 한국 대통령의 결정은 미국이나 다른 정부가 결정할 일이 아니라 그들 스스로의 결정”이라고 답변했다.
포터 부대변인은 “백악관이 우리의 결정을 발표하기 전에 동맹국 및 파트너들과 협의를 했다”면서 “우리는 신장 지역에서 중국의 지독한 인권유린 및 잔학행위에 직면해 외교적 보이콧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포터 부대변인은 문 대통령이 남한과 북한, 미국과 중국 등 관련 당사국이 원론적·원칙적으로 찬성 입장을 밝혔고, 북한이 미국의 적대시 정책 철회를 요구해 종전선언을 위한 회담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고 언급한 것과 관련해 ‘종전선언에 대한 문 대통령의 평가에 동의하느냐’는 질문에 기존 외교적 대북 접근법을 재확인했다.
포터 부대변인은 “우리는 북한과의 대화와 외교를 통해 한반도에서 항구적인 평화를 달성하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며, 북한과 관여하기 위해 미국 뿐만 아니라 동맹국과 배치된 군대의 안보를 강화하는 보다 실질적인 진전을 이루기 위해 조정되고 실용적인 접근법을 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확실히 북한에 대한 적대적인 의도가 없다”면서 “우리는 전제조건 없이 만날 준비가 돼 있으며, 북한이 적극적으로 응답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북한과 소통하는 최선의 방법에 대해 한국과 일본, 기타 동맹국 및 파트너와 계속 긴밀히 협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문 대통령은 한국시간으로 13일 한-호주 정상회담 공동기자회견에서 최근 미국이 첫 대북 제재를 발표한 것과 관련, 현시점에서 추진 중인 ‘종전선언’에 문제가 없겠냐는 취지의 질문에 대해 “종전선언에 대해서는 관련국인 미국과 중국, 북한 모두 원론적인, 원칙적인 찬성 입장을 밝혔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다만 북한이 미국의 대북 적대 정책을 근본적으로 철회하는 것을 선결 조건으로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아직 대화에 들어가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베이징 동계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여부에 대해선 “미국을 비롯한 어느 나라로부터도 참가 권유를 받은 바 없고 한국 정부도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