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에 비해 유력한 대권주자가 없는 국민의힘은 외부로 눈을 돌리는 동시에 여전히 불투명한 대권 행보 중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에 대한 ‘플랜B’까지 고민하는 모습이다.
윤 전 총장의 입당 가능성도 불명확하지만 중도 하자 가능성도 있는 데다 야권 대선 경선 흥행을 위해 김동연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최재형 감사원장의 이름까지 거론된다.
물론 야권 내부에서 아직은 김 전 부총리와 최 원장의 등판을 놓고는 소문만 무성한 상황이다.
최 원장 등판설을 띄운 것은 당권주자인 주호영 국민의힘 의원이다.
지난 19일 당 대표 선거에 출마한 주 의원은 “당 밖의 유력 대선주자들에게 문을 활짝 열겠다”며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윤 전 총장과 함께 최 원장을 거론했었다.
현재 윤 전 총장이 지지율에서 다른 야권 대선 주자에 앞서나가고 있지만 후발 주자들이 도전할 수 있는 진입장벽을 낮추겠다는 뜻으로 해석됐다.
특히 두 사람이 과거 군 복무 시절 법무관으로 교류했다는 사실이 전해지며 발언에 무게감이 더해지기도 했다.
최 원장은 현직 감사원장 신분이지만 국민의힘이 윤 전 총장과 함께 일찍부터 ‘러브콜’을 보내던 대상이다.
월성원전 1호기 감사 등에서 ‘원칙’을 앞세우며 여권과 대립각을 불사하는 강단을 보였고 지난해 문재인 대통령이 김오수 현 검찰총장 후보자를 감사원 감사위원에 임명하려 했지만 ‘정치적 중립성’을 이유로 반대하면서 반문(反문재인) 진영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여기에다 최 원장은 한 언론에 대선 출마 가능성에 대해 “입장을 밝히기 어렵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야권의 관심은 증폭됐다.
대권 도전에 선을 그어오던 최 원장이 시인도 부인도 하지 않아 가능성을 열어놨다는 점에서다.
야권 내부에서 여전히 최 원장에 대해 ‘권력의지가 없다’는 평가가 대체적이지만, 최 원장의 등판이 단순한 아이디어 차원을 넘어 ‘구애 작전’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보수진영의 법조게 인사들이 최근 들어 최 원장의 대권도전을 설득 중이라는 말도 적지 않게 나온다.
반면, 최 원장의 ‘입장을 밝히기 어렵다’는 발언을 놓고도 대권 도전 가능성이 아니라 말 그대로 공직자로서 대권 도전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의미로 보는 쪽도 있다.
윤 전 총장의 은둔 행보가 길어지면서 피로감인 누적되고 있다는 측면에서 최 원장의 등판 필요성을 언급하는 국민의힘 의원들도 더러 있다.
국민의힘 한 중진 의원은 뉴스1과 통화에서 “(최 원장의) 정치 성향은 모르겠지만 정부와 여당의 압박에 굴하지 않았던 모습 하나만으로 정치적 행위의 ABC(기본)는 돼 있다고 본다”며 “대선 경선의 치열한 경쟁과 흥행을 위해서라도 그런 분(최 원장)과 함께하는 건 좋은 일”이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다른 의원도 통화에서 “오히려 윤 전 총장보다 ‘호불호’가 적은 인물이 최재형 원장”이라며 “정권에 맞섰던 이미지에 정치권에 누구한테도 빚을 진 것도 없고 여당의 검증 공세에도 (윤 전 총장보다) 유리하다”고 했다.
김동연 전 부총리의 경우도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최근 윤 전 총장의 대안 카드로 이름을 거론하며 관심이 커지고 있다.
김 전 부총리는 최근 강연에서 잇따라 정치적 발언을 이어가며 주목도를 높이고 있다. 최근 청년 대상 강연에선 청와대에 권력이 쏠리는 현상을 ‘청와대 정부’로 비판하며 정치 개혁을 강조했다.
김종인 전 위원장은 21일에도 라디오 인터뷰에서 “김 전 부총리가 부총리를 그만두고 어느 특정 자리를 제안했는데도 거절하고, 서울시장 보궐선거 때 민주당 쪽에서 상당히 애를 쓴 모양인데 그것도 포기하고, 이번에 총리 인선에서도 상당히 제안을 받은 것 같은데 그것도 거절했다”며 “자기 나름대로 지향하는 목표가 있으니까 그랬을 것 아닌가”라고 대권 도전 가능성을 점쳤다.
김 전 부총리가 전날(20일) ‘현금 복지’를 비판하며 ‘기회복지’ 모델을 제시한 것도 이른바 ‘대망론’과 동시에 여권의 주자가 아닌 야권 주자로서 자리매김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되기도 한다.
김 전 부총리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복지국가 건설의 핵심은 소득수준이나 복지수혜에 관계없이 현금을 나눠주는 것이 아니다”라며 여권 유력 대선후보인 이재명 경기도지사를 겨냥하는 듯한 메시지를 냈다.
국민의힘 한 의원은 김 전 부총리에 대해 “아직은 여권 인사인지 야권 인사인지 피아 식별이 안 된다는 측면이 있다”면서 “흙수저 스토리는 있지만 ‘경제 대통령’으로서 철학은 부족한 게 아닌가 싶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