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오는 10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식 때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의 남편인 세컨드 젠틀맨'(Second Gentleman) 더글러스 엠호프를 축하 사절로 보낼 것으로 알려졌다.
사절단에는 마티 월시 노동부 장관과 아미 베라 민주당 하원의원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바이든 행정부는 이같은 축하사절 명단을 윤 당선인의 인수위원회측에 통보했다고 한다.
앞서 박진 외교부장관 후보자가 최근 정책협의대표단을 이끌고 미국을 방문했을 당시 미측은 취임식 때 고위급 인사를 파견하겠다는 입장을 전달한 바 있다.
‘세컨 젠틀맨’은 미국의 권력서열 2위인 부통령의 남편으로 ‘백악관 패밀리’에 속한다는 점에서 바이든 대통령의 방한 일정 및 한미 관계 등을 고려한 선택으로 해석된다.
바이든 대통령은 윤 당선인의 취임식 열흘 후인 오는 20일부터 22일까지 한국을 방문하는 만큼 바이든 대통령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과 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은 축하사절에서 제외됐을 것으로 보인다.
해리스 대통령도 바이든 대통령의 방한 일정을 감안해 취임식 축하사절 선택지에 포함시키긴 어려웠을 것으로 점쳐진다. 해리스 부통령이 취임식에 참석한다면 미국의 부통령과 대통령이 열흘 간격으로 한국을 방문하는 상황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퍼스트 레이디’인 질 바이든 여사는 오는 5~9일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와 관련해 루마니아와 슬로바키아 방문 일정이 예정돼 있어 취임식 참석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결국 한미 관계의 중요성을 부각하면서 상징성을 갖춘 인사로 ‘세컨 젠틀맨’을 선택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동안 미국은 한국 대통령의 취임식 때 비중 있는 인사를 보내 새 대통령의 취임을 축하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 취임식 땐 톰 도닐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이명박 전 대통령 땐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이, 노무현 전 대통령 땐 콜린 파월 국무장관이 각각 참석했다.
박 전 대통령 탄핵으로 인한 대선에서 당선된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다음 달 곧바로 취임한 탓에 외국 사절단이 없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