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활동에 대한 긍·부정 평가가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서 ±3.1%p) 안에서 맞서고 있는 여론조사 결과가 8일 나왔다.
넥스트리서치가 SBS 의뢰로 지난 6~7일 전국 성인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윤 당선인과 인수위의 활동에 대한 평가를 조사한 결과, 긍정적이라는 응답은 45.4%, 부정적이라는 응답은 40.9%를 기록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18~29세와 60대 이상은 긍정평가가 각각 43.0%, 59.3%를 기록해 부정평가보다 우세했다. 반면 40대와 50대는 부정평가가 58.0%, 47.8%로 긍정평가를 앞섰다. 30대에서는 긍정평가(42.0%)와 부정평가(45.0%)가 비등했다.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이전과 공공기관 인사 등을 둘러싼 ‘신구 권력 충돌’에 대해서는 윤 당선인의 책임이라는 응답이 49.2%로 문재인 대통령의 책임이라는 응답(35.7%)을 앞섰다.
중도층에서도 윤 당선인의 책임이라는 응답이 54.4%로 문 대통령 책임을 지목한 응답(31.8%)보다 많았다.
현 정부 임기 말 공공기관장 인사에 대해서는 현 정부의 인사권을 존중해야 한다는 응답이 42.6%, 당선인 측 의중을 따라야 한다는 응답이 53.3%로 집계됐다.
윤 당선인이 한덕수 전 국무총리를 새 정부 초대 국무총리 후보자로 지명한 데 대해서는 적절하다는 응답이 50.8%로 부적절하다는 응답(27.1%)의 두 배에 가까웠다.
오는 6월1일 지방선거에서 지지할 정당을 묻는 조사에서는 민주당 31.2%, 국민의힘 33.7%로 오차범위 안이었다. 정의당은 2.3%, 국민의힘과 합당 절차를 진행 중인 국민의당은 3.4%였다.
바람직한 지방선거 결과를 물었을 때는 ‘윤석열 정부 안정을 위한 여당 후보 지지’ 44.6%, ‘윤석열 정부 견제를 위한 야당 후보 지지’ 44.6%로 팽팽했다.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평가는 긍정 44.5%, 부정 48.9%로 나타났다. 대선 이전인 2월5~6일 시행한 조사(긍정 42.6%, 부정 53.4%)보다 긍정평가는 늘고 부정평가는 줄었다. 부정 평가가 50%를 밑돈 것은 지난해 7월 조사 시작 이래 처음이다.
이번 여론조사는 성·연령·지역 할당 후 유선 RDD 및 무선 가상번호 추출을 통한 유·무선 전화면접조사(무선 86%, 유선 14%)로 시행됐으며, 응답률은 15%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