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남북 간 상시 연락채널인 통일부의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정기 통화와 국방부의 정기 통신이 오전, 오후 모두 이뤄지지 않았다. 북한이 의도적으로 통신에 응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통일부는 이날 문자 공지를 통해 “오늘 오전 9시 연락사무소 업무 개시통화에 이어 오후 5시 마감통화도 이뤄지지 않았다”라고 밝혔다.
통화가 이뤄지지 않은 원인에 대해서는 “우리 측 구간의 통신선 점검 결과 이상이 없었다”며 “북측 구간에서의 통신선 이상 가능성 등을 포함해 상황을 지켜볼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방부도 이날 동·서해 군 통신선의 오전, 오후 정기 통신이 모두 이뤄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남북 간 통신연락선은 남북 합의에 따라 설치된 것으로, 정기·비정기 업무 발생 시 소통을 위한 공식적이고 상시적인 연락 창구다.
남북은 평일 기준 매일 공동연락사무소 채널을 통해 오전 9시 개시통화, 오후 5시 마감통화를 하고 있으며 군 통신선으로도 매일 오전 및 오후에 각각 1번씩 정기통신을 진행한다.
연락사무소의 통신이 이뤄지지 않은 것은 지난해 10월4일 이후 약 6개월 만이다. 당시는 북측 지역의 기술적 문제로 인해 일시적으로 통신연락망이 정상 작동하지 않았던 것으로 파악됐다.
군 소식통도 이날 “과거에도 시스템 상, 북측의 상황에 따라 연결이 안 된 적이 있다”라고 불통 장기화 가능성을 예단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다만 북한은 우리에 대한 불만의 표시로 과거 일방적으로 남북 간 통신연락선을 일방적으로 단절한 적이 있다. 북한은 지난 2020년 6월9일 남측 민간단체의 대북전단 살포를 비난하며 남북 간 모든 통신연락선을 단절한다고 통보했다가 13개월 만인 지난 2021년 7월에야 다시 복원한 바 있다. 북한은 이후에도 다시 일방적으로 통신을 중단했다가 같은 해 10월 재개하기도 했다.
이날 통신선의 비정상 가동도 최근 한미 연합연습과 북한의 맞대응 등 남북 간 ‘강 대 강’ 대결 국면이 이어지고 있는 것과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북한은 지난해부터 대남사업을 ‘대적사업’으로 전환하는 등 강경한 행보를 지속하고 있어 의도적으로 통신선 소통을 중단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