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뉴스1) 정은지 특파원 =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전면적인 10% 추가 관세 부과에 대응하는 10~15%의 보복관세가 10일 시행됐다. 앞서 대(對)캐나다·멕시코·중국 관세를 발효했던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해선 4일 발효를 앞두고 전격 30일 유예를 택한 터라, 이날 중국의 보복관세 부과 시작으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무기화에 따른 양자간 공격이 이뤄지게 됐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수입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해 25%의 추가 관세 부과 방침을 새롭게 밝히는 한편 상당수 국가에 대한 ‘상호 관세’ 부과는 이번주에 실행에 옮기겠다고 위협해 관세전쟁의 전선을 전세계로 확대하고 있다.
10일 외신을 종합하면 중국은 앞서 발표한 대미 관세 부과 조치 시행일인 이날 유예 등 별도의 다른 조치 없이 시행에 들어갔다.
중국은 미국의 10% 관세 부과 발효일이었던 지난 4일 미국산 원유·농기계 및 일부 자동차에 10%의 관세를,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에 15%의 관세를 각각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미국의 조치에 대한 보복 관세로, 시행일은 10일로 예고했었다.
당초 중국은 미국산 전 제품이 아닌 일부 품목만을 보복 대상으로 삼은 데다 관세 부과일을 10일로 일주일가량 여유를 뒀다. 이에 중국이 보복보다는 미국과의 물밑 협상에 방점을 찍은 것으로 해석됐다.
하지만 이후 미중 양측에서는 적극적인 대화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았다. 중국은 관영 언론 등을 통해 ‘협상의 문은 열려 있다’고 여러 차례 메시지를 냈지만 더 이상의 공개적 접근은 없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부과 전날인 지난 3일 “아마도 다음 24시간 안에 (시진핑 국가주석과) 대화할 것”이라고 했고, 백악관 대변인도 4일 “대통령이 말했듯 통화는 곧 이루어질 예정”이라고 했으나 아직 미중 정상 간 대화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중국은 트럼프 1기 당시에 비해 대미 무역의존도가 낮아지며 경제 체질이 개선된 점 등으로 인해 미국과의 무역협상에서 조급한 태도를 버리면서 트럼프에 휘둘리지 않겠다는 태도를 취한다는 분석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지난 4일 시 주석과의 통화를 “서두를 것 없다. 적절할 때 할 것”이라고 한발 물러서며 기싸움을 벌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대통령전용기(에어포스원)에서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알루미늄과 철강에 25% 관세 부과 방침을 10일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상당수 국가를 대상으로 예고한 상호 관세는 11일이나 12일 발표할 예정이라며 이는 즉각 발효될 것이라고 말했다.






